귀농귀촌지원센터
보도자료

전북도, 귀농귀촌 특화지역 만든다

전북도가 귀농귀촌 특화 지역으로 거듭나기 위한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는 7일 새로운 귀농·귀촌인 발굴 확대와 함께 이미 도내에 터를 잡은 귀농·귀촌인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단계별 지원정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귀농귀촌 희망자 유치 확대를 비롯해 기존 귀농·귀촌인들의 소득증대와 안정적 정착을 위해 마련된 ‘전라북도 귀농어·귀촌 지원 종합계획(2017년~2021년)’의 연장선이다.

특히 2018년을 체계적 귀농·귀촌 지원시스템을 더욱 고도화 시기로 결정하고 총 15개 사업에 93억 100만원을 투자, 1만 7천5백 세대를 유치한다는 목표다.

종합계획이 시작된 지난해 귀농귀촌인 중 30대 이하가 36.1%를 차지하는 등 젊은 인구 유입 효과가 나타나면서 이를 정책을 더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도는 귀농·귀촌 희망자 유치 확대를 위해 전북도 농업, 농촌에 대한 이해 제고와 홍보, 교육, 상담 등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강화해 선도적 모델로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귀농·귀촌인들이 정착시 최대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거주공간 마련을 위해 농촌체험 등이 가능한 임시거주시설 확대 등 초기 정착에 도움을 주고 귀농·귀촌인들의 보다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지역주민과의 유대 강화, 소득창출 교육을 확대한다는 입장이다.

여기에 오는 5월 11일부터 13일까지 사흘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제4회 전라북도귀농귀촌박람회’를 운영하고 8월 25일에는 귀농·귀촌 희망자들과 소통하는 ‘전북형 귀농·귀촌 페어’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초기 귀농·귀촌 유입단계 최대 애로사항인 주거문제, 영농기술 부족, 지역 정보부족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선 맞춤형 임시거주 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해결할 방침이다.

단기간 전북도를 방문하는 귀농귀촌 예비자들을 위해 귀농귀촌 게스트하우스(남원시)도 운영한다.

강승구 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찾아가는 귀농귀촌 서비스와 현장 밀착형 안정적 정착 지원, 체계적인 시스템 고도화로 사람 찾는 농촌이 구현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민일보 / 설정욱 기자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제목 날짜
완주군 환경 친화형 파프리카 ICT 융복합시설 도입 2015-12-02
완주군 곶감 피해 대책 간담회 추진 2015-11-25
‘도농상생 통해 귀농귀촌․사회적경제 1번지 완주 만들 터’ 2015-11-23
완주군 한.미.일 농업농촌정책 선도모델로 연구 2015-11-20
완주군 운주면 귀농귀촌인 김장나눔 봉사활동 2015-11-20
딸기, 화훼 편이장비 보급으로 생산성 200% 향상 2015-11-19
완주군 순환농업대학 생생한 현장교육 추진 2015-11-18
완주군, 전라북도 귀농귀촌 박람회 참가 2015-11-18
완주군, '귀농귀촌 공감톡톡' 실시 2015-11-18
완주군 로컬푸드 직매장 중국기자단 취쟁 방문 2015-11-18
전북관광자유이용권 가지고 완주군 구석구석 누비세요~ 2015-11-18
완주군 맞춤형 저소득층 일자리 확대 운영 2015-11-18
완주 명품 곶감, 소비자 맞을 준비 한창 2015-11-11
완주군 마을변호사 제도 주민 호응 속에 성공적 정착 2015-11-11
완주군 강소농대상 맞춤형 농장간판 제작 2015-11-04
완주군, 발효식초 제조 농가 본격 육성 2015-11-03
완주군, 로컬관광시스템 구축을 위한 팸투어 진행 2015-11-03
완주군 재능나눔 청년인턴 시범사업 실시 2015-11-03
주민과 함께하는 귀농귀촌 어울림 문화장터 운영 2015-10-27
고산미소한우, 수도권 진출! 미소한우판매장 경기 화성점 개장 2015-10-26